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스크랩

230105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부채비율, 분수효과

by 비월 2401 2023. 1. 5.
반응형

1. 부채비율


부채를 자기 자본으로 나눈 비율로 타인자본(부채)과 자기 자본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안전성 지표이다. 

이 비율이 낮을수록 재무구조가 건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부채비율


부채비율은 자기 자본비율과 역(한)의 관계에 있어 자기 자본비율이 높을수록 부채비율은 낮아지게 된다. 

타인자본은 차입금, 회사채, 매입채무, 미지급금, 부채성충당금 등의 부채를 말하며 1년 이내에 지급기일이 도래하는 부채는 유동부채, 1년 이후에 지급기일이 도래하는 부채는 비유동부채이다. 

 

경영자 입장에서는 단기채무 상환의 압박을 받지 않고 투자수익률이 이자율을 상회하는 한 타인자본을 계속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채권회수의 안전성을 중시하는 채권자는 부정적일 수 있는데 기업의 부채비율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추가로 부채를 조달하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과다한 이자비용의 지급으로 수익성도 악화되어 지급불능 상태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부채비율 = (유동부채 + 비유동부채)/자기자본 x 100

 

 

정원주 부회장 "대우건설 부채비율 100%까지 배당 안받는다" - 머니투데이

정원주 중흥그룹 부회장은 3일 대우건설 인수 이후 맞는 첫 시무식에서 "100년 기업의 근간을 마련해 올해를 대우건설의 새로운 50년을 준비하는 원년으로 삼겠다...

news.mt.co.kr

 


2. 분수효과


분수효과(trickle-up effect, fountain effect)란 정부가 경제정책으로 저소득층과 중산층의 소득을 먼저 늘려주면 이들의 소비 확대가 생산과 투자로 이어지면서 전체 경제활동이 되살아나고 이로 인해 고소득층의 소득도 늘어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분수효과

즉 분수에서 물이 아래에서 위로 솟아나는 것처럼 저소득층에서 시작된 소득과 소비 증대의 효과가 점차 상위 계층으로 확산되면서 전체 경제도 좋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영국의 경제학자인 케인즈(J. Keynes)가 경제 활성화에 긴요한 총수요 진작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한계소비성향이 높은 저소득층과 중산층에 초점을 맞추어 정부지출을 늘리고 세금을 줄여야 한다는 논리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이는 분배보다는 성장에, 그리고 저소득층보다는 고소득층에 중점을 두어 경제정책을 운용해야 한다는 낙수효과와는 상반되는 개념이다.

 

- 연관검색어 : 낙수효과

 

 

[함께 뛰는 플랫폼] (上) 작은 성공들의 분수효과...'상생 플랫폼' 거듭난 네카쿠배 - 테크M

최근 플랫폼 업계에서 \'상생 바람\'이 불고 있다. 네이버, 카카오, 쿠팡, 우아한형제들 등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들이 나서면서다. 이들은 운영하고 있는 플랫폼의 다양한 기술과 인프라를 중소

www.techm.kr


 

 

230106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블록체인, 비트코인

1. 블록체인 블록체인(block chain)은 ①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한 모든 거래정보를 블록(block) 단위로 기록하여 ② 모든 구성원들에게 전송하고 ③ 블록의 유효성이 확보될 경우 이 새 블록을 ④ 기존

dualego93.tistory.com

 

230104 경제 뉴스로 보는 용어 이해 - 부가가치, 부채담보부증권(CDO)

1. 부가가치 부가가치(value added)는 일정 기간 동안에 경제활동주체가 생산활동에 참여하여 새로 이 창출한 가치를 말하는데, 총산출에서 중간투입(소비)을 차감하여 구할 수 있다. 국민소득계정

dualego93.tistory.com

 

반응형

#tt-body-page blockquote[data-ke-style='style1']::after { content: ''; display: block; background: url(https://t1.daumcdn.net/keditor/dist/0.4.9/image/blockquote-style1.svg) no-repeat 50% 0; padding-top: 34px; transform: rotate(180deg); }